5월 30일 The Tragic Flaw
http://odb.org/2013/05/30/the-tragic-flaw/
The Tragic Flaw
Read: 2 Chronicles 26:3-15
In literature, a tragic flaw is a character trait that causes the downfall of a story’s hero. That was true of Uzziah, who was crowned king of Judah at age 16. For many years, he sought the Lord; and while he did, God gave him great success (2 Chron. 26:4-5). But things changed when “his fame spread far and wide, for he was marvelously helped till he became strong. But when he was strong his heart was lifted up, to his destruction” (vv.15-16).
Uzziah entered the temple of the Lord to burn incense on the altar (v.16), openly defying God’s decree. Perhaps pride convinced him that God’s rules applied to everyone except him. When Uzziah raged against the priests who told him this was not right, the Lord struck him with leprosy (vv.18-20).
In literature and in life, how often we see a person of good reputation fall from honor into disgrace and suffering. “King Uzziah was a leper until the day of his death. He dwelt in an isolated house, . . . cut off from the house of the Lord” (v.21).
The only way we can prevent the nectar of praise from becoming the poison of pride is by following the Lord with a humble heart.
문학에서 비극적인 약점은 이야기속 영웅의 몰락을 야기하는 특징입니다. 16살에 유다의 왕이 되었던 웃시야에게는 진실로 해당되는 이야기이지요. 여러해동안 그는 주님을 찾았었지요. 그렇게 하는동안 주님께서는 그에게 놀라운 성공을 주었습니다. (역대하26:4-5) 하지만 "그의 이름이 멀리 퍼짐은 기이한 도우심을 얻어 강성하여짐이었더라. 그가 강성하여지매 그의 마음이 교만하여 악을 행하여"(역대하26:15-16)
웃시야는 향단에 분향하기 위해 성전에 들어갔고 (16절) 공개적으로 하나님의 율법을 어겼지요. 아마도 교만이 그에게 하나님의 율법은 그를 제외한 다른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확신시켰던 것 같습니다. 웃시야가 그의 잘못을 지적하는 제사장들에게 화를 냈을 때 주님이 그를 문둥병자로 만들었지요. (18절-20절)
문학에서 실제 삶에서 우리는 자주 큰 명성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불명예를 뒤집어쓰고 고통당하는 것을 봅니다. "웃시야 왕이 죽는 날까지 나병환자가 되었고 나병환자가 되매 여호와의 전에서 끊어져 별궁에 살았으므로"(21절)
우리가 교만이라고 하는 독이 될 수 있는 명성의 달콤함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주님을 겸손한 마음으로 따르는 것 뿐입니다.